ISSN 1738-0391(Print) / 2713-9662(Online)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Vol.26. no.4 (2022)
pp.39~52

DOI : 10.22626/jkfrma.2022.26.4.004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모의 평일여가에서 나타난 변화(2004-2019)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교수)

이정은

(을지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강사)

최근 한국사회에서 출산율이 급락하면서 부모의 자녀돌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취학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부모의 여가활동별 사용시간에 초점을 맞추어 성차와 시간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과 2019년의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가 근무일인 평일에 작성한 시간일지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활시간 구성(필수시간, 의무시간, 여가시간)의 변화, 여가활동 유형(자원봉사, 교제, 참여, 종교, 의례, 문화·관광, 스포츠·레포츠, 게임·놀이, 미디어, 휴식, 기타 여가)에 따른 사용시간의 성차와 조사시기별 차이, 여가활동별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n=2,697).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조사시기 모두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경우 전체성인집단에 비해 필수시간은 짧고, 의무시간은 길며, 여가시간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부모의 여가활동별 시간사용량을 비교한 결과, 성차가 유의한 활동 가운데 2004년에는 종교활동을 제외한 모든 여가활동에서, 2019년에는 모든 여가활동에서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총 여가시간이 2004년에 비해 2019년에 감소하였는데, 여가활동별로는 교제, 의례, 미디어 시간은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감소하였고, 종교시간은 어머니 집단에서, 휴식시간은 아버지 집단에서만 감소하였으 며, 참여와 게임‧놀이 시간은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맞벌이부모의 여가활동 유형 중 전체성인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 3가지 여가활동(스포츠·레포츠, 게임·놀이, 미디어)을 선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수 와 생활시간 변수가 서로 다른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맞벌이부모의 초기양육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정책과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rends in the Workday Leisure-Time of Dual-Income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2004-2019)

Seo, Jiwon

Lee, Jung-eu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orkday leisure time of dual-income fathers an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Data were gathered from the Statistics Korea Life Time Surveys from 2004(y1) and 2019(y2) (n=2,697). Life time was composed of three types(inevitable time, compulsory time, and leisure time) and leisure time was categorized into 11 activities(voluntarism, participation, social relationships, religion, rituals, culture and tourism, sports, game and play, media, rest, and other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and time effec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working fathers an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spent less inevitable time, more compulsory time, and less leisure time, than other adult group. Second, fathers spent more time on 10 leisure activities except religion in y1, and on all activities than mothers in y2. In y2, less time on three activities(social relationships, rituals, and media)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less time on religion for mothers only, more time on two activities(participation, game and play) for both groups were spent than y1. Third, in the regression analysis of fathersʼ and mothersʼ leisure time on three leisure activities(sports, game and play, and media) with a distinct pattern from leisure time for adult group between y1 and y2, socioeconomic variables and lifetime variables showed different effects by gender and waves. Based on the results, family policy and programs to improve the work-life balances of working fathers and mothers discussed.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3087]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86 (한국방송통신대학) 본관 527호
TEL : 010-4026-8468    E-mail : kfrma@hanmail.net
Copyright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